원저자: Charles Rae

역자: Team Hermes 남혜리

원제목: The differences between Mainstream and Radical Feminism[각주:1]

출처: 링크


※초벌번역은 작년 4월 7일경 역자의 페이스북에 게시하였으나 원저자가 글 내용을 수정함에 따라 재번역하였다.


최근, 두 페미니즘 노선 사이에 팽팽한 온라인 논쟁이 있었다. 많은 사람들은 이 여성들이 그들의 차이점을 뒤로하고 가부장제 종말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향해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고 여긴다. 불행히도,두 페미니즘 노선의 이데올로기는 서로에 대한 안티테제이며,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차이점이 확실히 정립되었고 차이를 좁힐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다음의 점 찍힌 항목들은 제 3물결(자유주의 페미니즘)과 제 2/4물결(급진주의 페미니즘) 간 최근의 분명한 차이점들에 대해 개괄한다.


자유주의/주류 페미니즘


  • 페미니즘의 정의: 성 평등
  • 정치적, 사적 영역에서의 평등에 대한 투쟁
  • 기회와 권리 획득에 대한 요구
  • 가부장제는 남성에게도 피해를 준다(=맨 박스)고 말한다
  • 주류

- 유명인사의 지지

- 국가적인 플랫폼

- 잘 알려진 메시지들: 평등한 결혼, 종교적 평등, 동일 임금, 임신중단권


  • 젠더 개량하기

- 정체성의 정치학

- 생물학에 기반을 두지 않음

- 개인은 젠더를 선택할 수 있다고 주장

- '여성성'에 대한 비판을 여성혐오로 간주

- 여성성이 역량을 강화한다고 주장


  • 트랜스여성 포용적

- 여성으로 정체화하는 남성[각주:2]을 페미니즘이 받아들일 것을 추구함 


  • 모든 여성전용 공간을 여성으로 정체화한 남성에게 개방하길 원함

- 탈의실, 화장실, 스포츠팀 등등

- 여성전용 가정폭력 쉼터, 여성전용 안전지대

- 여성의 리더십역할, 여성들을 위한 기회, 펀딩, 장학금

- 컨벤션, 축제, 모임 등


  • 성적자유주의, (aka SM지지자)

- 여성에게 자율권을 주는 수단으로 성노동을 언급

- 성매매를 여성을 위한 실용적인 경제적 기회로 취급

- 건강한 성적 충동이라며 사디즘을 지지함(BDSM)


  • 폭넓은 교차성 

- 3물결에선 페미니즘은 모든 사람을 끌어안아야 하는 운동이라 이론화한다. 즉 남성 앨라이들에게 공간을 마련해 주고, 모든 이들을 위한 범사회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남성, 게이나 헤테로남, 여성으로 정체화한 남성을 지원해야 한다는 뜻.


  • 슬로건: “트랜스여성은 여성이다”, “페미니즘은 모두를 위한 것”, “페미니즘은 쿨하다”, “시스젠더 여성만이 아닌, 자매들을 지지해 주세요”,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이다”, “페미니즘은 욕이 아니다, "페미니스트는 이렇게 생겼어", "TERF를 때려"

  • 전문 용어: 트랜스여성혐오, 시스젠더, TERF(트랜스젠더 배제적 급진주의 페미니스트), SWERF[각주:3], 논바이너리, 에이젠더[각주:4], 슬럿쉐이밍[각주:5], 창녀혐오, 강간문화, 성에 긍정적인[각주:6], 유리천장, 맨스플레인, 나쁜 페미니스트, 3의 물결, 코튼실링[각주:7], 트랜스레즈비언, 트루스컴[각주:8]


급진주의 페미니즘


  • 페미니즘의 정의: "남성으로부터 여성 해방"
  • 정치적, 사적 영역에서의 해방을 위한 투쟁: 그들은 남성이 "평등" 패러다임을 부정해온 것 같이 폭력과 억압할 자유를 원치 않는다고 주장한다.
  • 공간, 저술작업을 요구
  • 가부장제는 남성을 해하지 않으며, 오히려 남성은 가부장제로부터 이득을 얻는다. 
  • 지하에 파묻힘

- 유명인사의 지지 없음

- 전국적으로 연단에서 쫓겨나는 신세(레프트포럼 사건, 밴쿠버 여성 도서관 사건, 저자 나타샤 차트[각주:9], ACLU(미국시민자유연맹) 회장 마야 딜라드 사임[각주:10], 그 외 수많은 폭력의 위협)

- 논쟁적인 메시지: 결혼제도 폐지, 종교 비판, 노동인구의 재구조화, 임신중절 지지[각주:11], 자궁흡입술 지지, 자연분만 옹호, 분유식 반대, 노르딕모델 지지


  • 젠더의 폐지 추구

-  '성별을 기반으로 한 위계적 사회화(즉 성차별주의)와 억압의 체계'라는 젠더의 본래 정의를 사용

- 여성들이 입는 옷과 소유물 일체를 성적으로 대상화하기 위한 종속적,수동적인 성격 훈련에 저항

- 훈련된 남성 성역할인 남성적 사회화, 마초이즘, 나르시즘을 비판

- 생물학에 기반을 둔 섹스/젠더 분석법

- 페미니스트 이론으로서의 '여성성' 비판


  • 트랜스남성 포용적

- 모든 여성을 남성우월주의로부터 해방시키고자 함


  • 어떤 남성/트랜스 여성도 여성전용 공간에 접근하는 것을 거부함

- 화장실, 탈의실, 스포츠팀 등등

- 여성전용 가정폭력 쉼터, 여성전용 안전지대

- 여성의 리더십역할, 여성을 위한 기회, 펀딩, 장학금

- 컨벤션, 축제, 모임 등


  • 성매매와 포르노(돈 받는 성매매) 폐지론자 

- 포르노는 여성의 신체에 대한 폭력을 일상화한다

- “성노동”은 억압적이고 남성중심적인 사회에서 여성에게 강요된 여성억압이자 착취로, 남성의 수요에 맞춰 여성을 대상화하고 상품화한다.


  • 교차하는

- 어떻게 생물학적 성별에 기반한 억압이 계급, 인종을 기반으로 한 억압과 교차하는지 연구(i.e 구조적 교차성)

- 페미니즘은 남성중심사회에서 성별을 기반으로 한 계층적 억압에 저항하는 모든 여성을 위한 것

- 남성은 페미니스트가 될 수 없고 오로지 지지자(Ally)로서만 가능하다. (여성으로 정체화한 남성도 포함됨)


  • 슬로건: "문제를 명명해라" (예: 남성 폭력),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정치적이다", "여성이 우선이다", "나는 급진 페미니스트지, 괴짜가 아니다", "남성 폭력을 끝장내자" "여성 전용", "트랜스여성은 남성이다",  "포르노는 페이강간[각주:12]", "여성은 느낌이 아니다" 

  • 전문 용어: 형평성, 젠더비판적, 소아성도착 문화(by Alicen Grey), 강간 문화, 성 비판적[각주:13], 유리천장, 맨스플레인, 남성 테러리즘, 4의 물결/2의 물결, 피크 트랜스[각주:14], 젠더교





  



  1. 처음 번역할 당시 저자는 Mainstream이 아니라, Liberal feminism이라 제목을 명시하였다. 이는 처음 글을 게시한 역자의 페이스북에서도 확인 가능. https://www.facebook.com/RFHyeriNam/posts/192426304593898 [본문으로]
  2. 해외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이들을 MtT(Male to Trans, 남성에서 성전환한) 혹은 TIM(Trans-identified Male, 트랜스젠더로 정체화한 남성)이라 부른다. 구독자가 14000명이 넘는 젠더크리티컬 레딧에서는 MtT를 버리고 TIM을 쓰는 분위기. 이 링크에서 토론을 볼 수 있다. https://www.reddit.com/r/GenderCritical/comments/7eghte/on_language_mtt_vs_timtif_which_acronym_is_the/ [본문으로]
  3. Sex Worker Exclusionary Radical Feminist, 즉 성노동자 배제적 급진주의 페미니스트 [본문으로]
  4. 접두사 a-는 '없음'을 의미한다. 즉, 에이젠더(agender)란 젠더가 없는 젠더라는 뜻이다. 참고로 많이들 에이젠더와 혼동해서 쓰는 에이섹슈얼(asexual)은 무성애자를 뜻하며, 70억 젠더 정체성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본문으로]
  5. 사람들, 특히 여성이 성 행동에 대한 통념을 깼다고 인식되었을 때 가해지는 사회적 오명의 한 형태. (영문 위키백과 번역) [본문으로]
  6. 소아성도착증, BDSM, 성매매, 다자연애, 포르노 등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성적 실천과 충동을 긍정하는 입장이다. 대표적인 성적 자유주의자로는 게일 루빈이 있다. [본문으로]
  7. 시스젠더들이 트랜스젠더를 섹스 파트너로 받아들이지 않는 사회적 장벽(https://en.m.wiktionary.org/wiki/cotton_ceiling 의 설명 번역) 역주) 한마디로 외않자조? [본문으로]
  8. 트랜스메디칼리스트 혹은 트랜스근본주의자로도 알려져 있다. 다른 트랜스젠더의 진정성을 의심하고 위신을 깎는 트랜스젠더를 뜻한다. 이들은 개인이 성별 위화감(여기선 본인 신체에 대한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선 진짜 트젠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http://sjwiki.org/wiki/Truscum#cite_note-1의 설명 부분번역 [본문으로]
  9. 해외 래디컬 페미니즘 노선의 언론 feminist current의 저자. [본문으로]
  10. 마야 딜라드(Maya Dillard)는 메일바디 트랜스젠더와 화장실을 함께 쓸 수 없으며, 트랜스젠더의 화장실 출입 옹호가 여성과 아이들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발언했고, 결국 사퇴하게 되었다. [본문으로]
  11. 리버럴보다 한발 더 나아가, 과잉 인구를 조절하는 데도 효과적이고 의미있는 방법으로 간주함, urban dic 출처 [본문으로]
  12. 원문에서는 'paid rape'라 표현하였는데, 이미 워마드에서는 성매매를 대체하는 용어로 '페이강간'을 사용하고 있기도 해서 굳이 풀어서 번역하지 않았다. [본문으로]
  13. 성적 자유주의와 반대되는 입장으로,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일찍이 성 전쟁Sex War에서 이들이 말하는 자유가 남성의 욕망을 정당화한다고 비판하였다. 흔히 성자유주의자들은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을 보수 기독교와 엮어 성적 보수주의로 매도하나, 이는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에 대한 명예훼손이며 정치질일 뿐이다. 성에 비판적이라는 말은 남성의 욕망을 반영하는 성매매, 포르노, BDSM, 아동성도착증 따위의 실천을 비판하는 입장이지, 여성의 자위나 생식기마저 저속하게 보는 견해가 아니다. [본문으로]
  14. 어떤 사람이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에서의 모든 것이 옳지 않다 여기고, 트랜스정치학의 지지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게 되는 순간. (http://peaktrans.tumblr.com/about 의 설명 번역) a.k.a 탈젠더교 각성타임 [본문으로]
블로그 이미지

남혜리(Hyeri Nam)

6B radical feminist,lesbian,liberal right-winger, atheist,contents cre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