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 대개 외로움과 쓸쓸함을 함께 떠올리게 만드는 단어. 주변의 사람과 소음으로부터 한 발치 떨어져 있음을 자각하는 상태. 고독의 시간은 공부에 몰두해 있는 시간도, 영화를 보는 시간도, 밥을 먹고 잠자는 시간도 아니다. 고독은 자신이 이 세상에 오직 홀로 존재하고 있음을 생생하게 피부로 느끼는 감정이다.

그 시간은 사유의 시간이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생각을 이어나가는 시간이다. 그 때에 나는 내 자신과 마주한다. 평소 다른 사람들을 신경쓰고, 여러 일거리와 잡음에 묻혀서 미처 돌아보지 못하고 있었던 내 상태를 확인한다. '나'는 오직 그 시간에만 나에게 말을 걸어온다.

"너는 잘 살고 있니?"라고.
"너는 뭘 하고 싶니?"라고.

그 때 비로소 나는 삶을 돌아본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 돌아본다.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종종 답을 찾지 못할 때면 기억의 발자취를 따라가 본다. 어떨 때 행복했는지, 어떨 때 불행했는지.. 그러면서 '나'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다.

그 시간은 정리되지 않았던 수많은 질문거리에 대해 스스로 답을 찾아내는 시간이다. 이어지지 않는 퍼즐조각을 스스로 맞추면서 자신에 대해, 잠시 의식 아래 내려놓았던 문제들에 대해 오롯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다. 사유의 과정을 통해 나는 하나 혹은 그 이상 아이디어를 찾아낸다. 이 시간은 창조의 시간이다.


공동체. 나와 등을 맞대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손을 잡고 있는 사람들. 갈등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만 용기와 상상력은 오직 나와 등을 맞대고 서 있는, 나와 손을 잡고 이 땅 위에 함께 서 있는 사람들에게서 나온다. 혼자서는 불가능하고 힘들어 보이는 계획들을, 당신들과는 함께 미래를 상상하고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다.

공동체는 지친 나의 휴식처이기도 하며 나를 더욱 예리하게 만든다. 그도 그럴 것이 공동체에는 날을 세운 사람들만 있기에 그들을 본받아 자연스럽게 날을 세우게 되기 때문이다. 무뎌진 칼은 쓸 수 없는 법. 공동체 안에서 내 감각은 예리한 채로 살아 있다.

예민한 감각으로, 야망을 가지고 우리는 앞을 바라본다. 공동체 안에서 내가 얻는 건 열정이다.

고독으로부터 창조를,
그리고 공동체로부터 열정을

'새벽에 우는 올빼미 > [자필]소소한 단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1)  (0) 2017.10.29
블로그 이미지

남혜리(Hyeri Nam)

6B radical feminist,lesbian,liberal right-winger, atheist,contents cre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