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교'
혀 짧은 소리, 의존적인 언어(예: 기싱꿍꼬또)를 특징으로 하며 아동의 행동특성을 모방하는 행위. 이러한 애교는 대개 남성이 여성에게 요구하는 행동인데, 여성은 아동과 같은 미숙함, 연약함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이 남성에 비해 약하고, 남성에게 해가 되지 않는 존재임을 증명하게 된다. 즉, 한마디로 애교를 요구하는 것은 자신이 더 높은 지위임을 확인시켜 달라는 의미. 이는 다른 문화권에 존재하지 않는 한국 특유의 문화로, 현재는 일본과 중국에도 이와 같은 '애교'가 퍼진 상태다. 애교가 자리잡은 것은 특유의 '식민지 남성성'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의 거세된 남성성을 여성을 통해서 끊임없이 확인받고자 하기 때문에 여성에게 연약함을 요구하는 것.
자료출처: 페이스북 메갈리아 4 페이지
'페미니즘을 말하다 > [저장소] 읽을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남자가 다 그렇지는 않아`가 여자들에게 먹히지 않는 이유.txt (0) | 2017.12.04 |
---|---|
가운데가 없어 중립에 집착하는 멍청한 시계추 이론 (0) | 2017.12.01 |
권력과 서열의 핵심, 바디랭귀지 (0) | 2017.11.27 |
페친님이 남긴 통찰력있는 명문 모음집 (0) | 2017.11.24 |
올랭프 드 구즈 " 여성이 단두대에 오를 권리가 있다면 연단에 설 권리도 있다. " (0) | 2017.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