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2017/11/23 - [페미니즘을 말하다/[자필]올빼미의 시선] - 페미니스트 멘탈케어: 분노와 지침 가운데, 양가감정을 느끼는 당신에게

페미니스트 선언을 하고 난 후, 주변 사람들과 페미니즘에 대해 대화해 본 적이 있나요? 아무리 설명해도 상대방이 알아듣지 못하거나 대화를 피하려고만 해서 실망한 적이 있나요?


  저는 이 글을 그런 경험을 해본 사람들을 위해 바칩니다. 페미니즘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다가 실망과 상처를 경험한 사람들을 위해 바칩니다. 어떤 방법으로 대화를 시도해도 상대방이 알아듣지 않고 피하려고만 할 때, 이 글이 당신께 하나의 제안이자 위로가 될 수 있기를.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하는 데는 단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페미니즘에 대한 호감도를 -10부터 +10으로 점수를 매긴다면, 호감도가 -10인 사람을 +10이 아니라 -7,-5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만 해도 잘하신 거예요. 그럼 어떻게 +10까지 채우냐고요? 그건 내가 아니라 다른 사람을 통해서, 관련 매체를 통해서 채워질 수도 있는 겁니다. 물론 나로 인해서 역차별 운운하던 사람이 페미니스트로 뿅 하고 바뀐다면 좋겠지만, 사람 일이란 게 항상 뜻대로 되진 않잖아요.


그러니까, 너무 조급해하지 않으면 좋겠어요. 당신은 그저 마음에 담아둔 사람에게 페미니즘이란 씨앗을 뿌리면 되는 거예요. 물론 당신이 그 싹을 틔우면 더할 나위 없이 바람직하겠지만, 싹을 틔우지 못할 수도 있어요. 그 상태로 끝까지 싹을 틔우지 못할 수도 있지만, 나중에 어떤 계기로 싹이 틀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이 물을 주고 꽃을 피워낼 수도 있는 것이지요. 따라서, 당장 누군가에게 페미니즘이 뭐다, 여성혐오가 뭐다 그런 이야기를 했을 때 그 사람이 거부반응을 보인다고 해서 엄청 실망하고, 그 사람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이야기예요.



물론 거부반응을 보였을 때 당연히 실망하고 상처받을 수 있지요. 이해합니다. 저 또한 무시당했을 때 상처를 많이 받았으니까요. 충분히 노력했고 놓고 싶다면 내려놓아도 괜찮아요. 그걸로 비난할 사람은 없으니까요. 


   현재 페미니즘은 하나의 유행이라고 말할 정도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 되었습니다. 여성혐오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2015년, 메갈리아는 뜨거운 감자였으며 올해는 스스로 페미니스트라고 말하는 연예인이 나타났고 각종 SNS에서, 방송에서, 페미니즘은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게 되었습니다. 물론 아직은 반발하는 사람들, 무관심한 사람들이 더 많이 보이지요. 하지만 치아만다 응고치 아디치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만일 여자도 온전한 인간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정말 우리 문화에 없던 일이라면, 우리는 그것이 우리 문화가 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렇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거듭 반복하면, 결국 그 일이 정상이 됩니다."

-치아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네, 우리는 페미니즘이 상식이 되는 세상을 만들면 됩니다. 그러면, 영영 변하지 않을 것 같던 당신의 지인도 당신이 했던 말을 떠올릴 겁니다. 상식의 기준이 바뀌면, 그 상식에 맞추지 못하는 사람은 구시대적인 사람이 될 뿐이니까요. 


다시 한번 정리합니다. 당신의 지인이 페미니스트가 되길 바라나요? 일단은 대화를 시도하세요. 노력하세요. 그러나 힘들면 내려놓되 그 자체에 죄책감을 가지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당신이 아니더라도 그 사람이 페미 선언을 하는 계기는 얼마든지 생길 수 있으니까요. 그건 당신이 무능하다는 뜻이 아니에요. 그 동안에도 당신은 페미니즘이 상식이 되는 세상을 만들고 있잖아요? 결과적으로, 그 노력의 결실로 세상이 바뀌면, 당신의 주변인들 역시 바뀌게 될 겁니다. 




블로그 이미지

남혜리(Hyeri Nam)

6B radical feminist,lesbian,liberal right-winger, atheist,contents creat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