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8일부터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내 특별신고센터가 설치되어 온라인 비공개 게시판, 전화, 우편, 방문을 통해 신고 및 접수가 가능해진다고 한다. 국내에서 성폭력 가해사실을 폭로하는 미투(Me too)운동이 확산됨에 따라, 비교적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려고 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성폭력 가해사실을 폭로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폭로 이후의 대응이다. 피해자는 2차 가해에 곧장 노출되고, 가해자가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진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직장에서 발생한 성폭력을 공론화하고자 할 때, 인사상의 불이익을 받거나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폭로 이후'가 더 중요한 피해자들에게 적절한 법률 및 상담 서비스를 지원하고 관련 기관과 연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여성가족부의 이와 같은 대응은 시기 적절하고 실효성 있는 대안이었다.

블로그 이미지

남혜리(Hyeri Nam)

6B radical feminist,lesbian,liberal right-winger, atheist,contents creator

,

매년 11월 25일은 UN에서 지정한 세계여성폭력 추방의 날이며 이 날부터 12월 10일까지 총  16일은 여성폭력추방주간입니다. 영국,호주 등지에서는 여성폭력추방  기간 동안 캠페인을  진행하며 하얀 리본을 달아 이를 기념합니다.  그래서 White Ribbon Day라고 알려져 있죠. 여성폭력추방주간을 맞이하여 좋은 자료를   번역해 보았습니다.


자료 출처: UN Women

역자: Team Hermes 남혜리

원제: Explore the facts: Violence against women

원문 출처: 링크





블로그 이미지

남혜리(Hyeri Nam)

6B radical feminist,lesbian,liberal right-winger, atheist,contents creator

,


2013년 자료. (현재는 저것보다 부디 인식이 개선되었기를 바랍니다)

☆인식 개선이 필요한 경우(긍정의 대답이 25% 이상인 경우로 집계)
= 7개 항목을 제외하고 전부

☆인식 개선이 매우 시급한 경우(긍정의 대답이 45% 이상인 항목)
1. 여성이 끝까지 저항하면 불가능하다에 =51.9%
2. 여성이 조심하면 성폭력을 줄일 수 있다 = 62.7%
3. 모르는 남성의 차를 얻어타려다 강간당하면 여자 책임도 있다=56.1%
4. 키스나 애무를 허용하는 것은 성관계를 허용하는 것= 45.1%
5. 술에 취한 상태에서 성폭행을 당했다면 여자 책임도 있다= 54.7%
6. 강간을 줄이기 위해 성매매여성이 필요= 48.3%


*잘못된 성적 통념들과 이에 대한 비판은 이미 많은 자료들이 있으니 나중에 한꺼번에 정리함

그렇다면 진짜 성범죄의 발생 원인은?


"전적으로 가해자에게 있습니다"

술을 마셨기 때문도, 야한 옷을 입어서도, 장소나 날씨, 시간의 문제도 아니에요. 그 말은 피해자에게 2차 가해가 될 뿐더러 인과관계란, 가해자가 범죄를 저질러서 =>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물건을 도둑맞았다면 주인이 간수를 못해서인가? No. 가져간 놈이 백번 잘못한거다. 도둑이 없으면 잠금장치가 굳이 왜 필요한가?
-폭행을 당했다면? 때린 놈이 잘못한거다.
-총기난사 사건의 원인은? 당연히 난사한 사람 때문이다.
그런데 왜 유독 성범죄에는 그렇게 피해자에게도 책임을 전가하는가?

엄연히 가해자 책임이기 때문에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는 법은 지극히 명백하다.



  



블로그 이미지

남혜리(Hyeri Nam)

6B radical feminist,lesbian,liberal right-winger, atheist,contents creator

,